지난 21일 이명박 대통령과 비공개 회동을 가진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대북 또는 대중 특사설'이 정치권에서 거론돼 주목된다.
특히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이날 자국 인질 석방 명목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중국의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6자회담 재개 협의차 26일부터 방한하는 점 그리고 국내에서도 `천안함 출구전략' 필요성이 제기되는 등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조짐을 보인다는 점에서 특사설이 자주 거론된다.
이 대통령 당선인 시절인 지난 2008년 1월 당선인 특사로 중국을 방문한 점과 2002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면담한 박 전 대표의 이력도 특사설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한 친박(친박계) 의원은 25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 전 대표가 회동 내용에 대해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언급한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회동에서 이 대통령이 현재 중국 및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브리핑이 있었을 것이고, 당장은 아니더라도 양 측과 관계개선을 해야 하는 기회가 오면 역할을 해달라는 얘기가 나왔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친박인 유기준 의원은 전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 "남북관계나 대중관계 회복을 위해 특사로 나서는 방안을 검토할 만 하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친이(친이명박)계 당직자도 사견을 전제로 "특사 역할이 회동에서 언급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 대통령으로서도 북한 또는 중국과 관계개선을 위한 특사를 지명한다면 굳이 다른 사람이 아닌 박 전 대표에게 맡기는 것이 나을 수 있고, 박 전 대표로서도 국제적인 정치인이라는 이미지를 심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북한의 사과를 비롯한 '책임있는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인 만큼 `박근혜 특사설'은 시기상조라는 시각이 다수인 것으로 보인다.
한 친박 의원은 "천안함 사태로 불거진 대북 제제가 전 세계적 이슈인 만큼, `박근혜 특사설'도 시기상조일 수 밖에 없다"고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한편 청와대측은 `박근혜 특사설'에 대해 "아는 바 없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