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교수가 "한국 경제 회복세는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학 교수는 14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매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10회 세계지식포럼'에서, "한국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조심스럽다"고 전제한 뒤 "한국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다. 회복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한국 경제의 회복세는 (세계 경제의) 재고 조정 효과 때문에 과장된 측면이 있다"며 "한국의 경제 회복은 많은 부분 국제 교역의 회복에 의존했는데, 이런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또 세계 경제가 내년에 심각한 더블딥(경기 상승 후 재하강) 현상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예상대로라면 내년에 완만한 더블딥이 올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단순 경기둔화에 멈출 수도 있고 더 심각한 더블딥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크루그먼 교수는 세계 각국의 `출구전략은 상당기간 늦춰져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 실업률이 7% 수준으로 떨어질 때까지 적어도 2년간 0%대 금리를 유지하는 등 세계적으로 수년 동안 통화확장 정책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출구 전략은 각국이 상황에 따라 조금 빨라지거나 늦춰질 수 있지만 파급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며 "최근 금리를 올린 호주의 경우, 아직 금리를 올릴 만큼 탄탄한 경제 수치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놀라운 일이었다"고 말했다.
주요국이 재정적자를 통해 경기부양책을 편 데 대해서도 "재정적자가 세계를 (대공황의) 벼랑 끝에서 구했다. 적자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며 "앞으로 경기부양책을 한 번 더 써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통화량을 늘린다고 해서 무조건 인플레이션을 겪는 것은 아니다. 제로금리 상태에서는 통화량 증가가 물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출구전략을 늦출 경우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글로벌 불균형 문제와 관련,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와 미국 등 선진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줄임으로써 세계의 수요를 재분배해야 한다"며 "위안화의 경우 대규모로 환율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에 대해서는 "위안화는 국제적 교환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 대상이 아니고, 유로화 역시 채권시장이 달러화 채권시장보다 규모가 작은 문제가 있다"며 "불공정해 보이기는 하지만, 미 달러화의 위상은 오히려 강화돼 기축통화로서의 생존기간이 이번 위기로 10년은 더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