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2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마당에서 1시간20분여 동안 국장(國葬)으로 엄수됐다.
이날 영결식은 조순용 전 청와대 비서관과 손숙 전 환경부 장관의 공동 사회로 거행됐으며, 부인 이희호 여사 등 유족과 이명박 대통령, 김영삼 전 대통령을 비롯한 정·관계 주요 인사, 주한 외교사절과 해외 조문 특사 등 2만4000여명이 참석했다.
검은색 운구차에 실린 김 전 대통령의 유해는 이날 오후 3시20분쯤 영결식이 끝난 뒤 국회를 출발, 경찰의 호위 속에 여의도 민주당사, 서울 동교동 자택, 서울시청 광장, 서울역 등을 거쳐 장지인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운구됐다.
김 전 대통령은 국립현충원 국가 유공자 제1묘역 하단부에 봉분과 비석, 상석, 추모비 등을 합쳐 264㎡(16mX16.5m, 80여평) 규모로 조성된 묘역에 영면(永眠)한다. 이 묘역은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 묘소와 100여m,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와 350m 정도 각각 떨어져 있다.
국립현충원은 안장식이 끝나면 국가원수 묘지에 대한 규정에 따라 뒤로 펼쳐진 활개 앞에 4.5미터 크기의 봉분을 완성하고 그 앞에 제단과 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비석 준비는 아직 완료되지 않아 우선 제15대 대통령 김대중의 묘‘라고 새겨넣은 나무로 만든 임시비를 세워두고 나중에 화산암의 일종인 오석(烏石)으로 바꿀 예정이다.





06151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309, 1205호 (삼성제일빌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