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보도자료

제목 [김대중 前대통령 서거] 남북정상회담으로 노벨평화상…'햇볕정책'은 찬반 논란 불러
글쓴이 조선닷컴,등 등록일 2009-08-19
출처 조선닷컴. 등 조회수 1566

다음은 조선닷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사회
종합

[김대중 前대통령 서거] 남북정상회담으로



노벨평화상…'햇볕정책'은 찬반 논란 불러

 

 

  •  입력 : 2009.08.19 01:40 / 수정 : 2009.08.19 07:19

엇갈린 영욕의 세월… 역사 속으로


IMF극복 '조기졸업' 성과 퇴임후 '평화 전도사' 역할 반(反)이명박 정치 활동 논란

한반도문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평생에 걸쳐 천착해온 과제이다. '햇볕정책'을 빼놓고 김 전 대통령을 생각할 수 없는 이유다.

그는 집권하자마자 햇볕정책으로 북한을 대했고, 분단 이후 첫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그 공로로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이 때문에 분단의 벽을 허물어 남북 화해와 통일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한편에선 '원칙이 결여된' 대북 유화정책과 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북에 제공된 5억달러 등이 북한의 핵무장을 도왔다는 정반대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청와대 시절의 명암

김 전 대통령은 '대통령 당선자' 시절이 없었다. 'IMF 환란(換亂)'의 와중이라 당선 다음 날부터 사실상 대통령으로서 경제위기 극복을 지휘해 나갔다. 대기업 '빅딜', 금융사 통폐합 등 경제 구조조정을 밀어붙였다. 그 결과 2001년 8월 IMF에서 빌린 돈을 모두 갚아 '조기 졸업'을 이뤄냈다.

IMF문제 못지않게 DJ가 역점을 두었던 분야는 남북관계이다. DJ가 남북문제와 인연을 맺은 것은 해방정국 때 몽양 여운형이 좌·우익을 망라해 구성한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하면서부터였다. 그는 1971년 대선에 출마했을 때도 미·일·소·중 4대국에 의한 한반도 평화보장론을 선거 공약으로 내걸었고, 통일정책으로 '남북연합→연방제→통일국가'를 골자로 하는 '3단계 통일론'을 내거는 등 남북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3단계 통일론은 남북 정상회의를 최고 의사 결정기구로 하는 남북연합을 첫 단계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성숙하면 연방제를 만든 다음 통일국가를 이루자는 내용이다. 이 같은 행적과 주장 때문에 그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색깔론과 사상 논쟁에 휩싸이기도 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둘째 날인 6월 14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두 손을 맞잡고 인사하고 있다.
'햇볕정책'으로 북한을 대한 김 전 대통령이 취임한 첫해인 98년 11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한 사람들의 금강산 관광길이 열렸다. 대통령 재임기간에도 북한 잠수정 침투, 금강산 관광객 억류, 제1연평해전 등으로 난관에 봉착했지만 대북 포용정책 기조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마침내 2000년 6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분단 반세기 만에 첫 남북 최고지도자의 만남이었다. 13일부터 15일까지 2박3일간의 평양 방문에서 그는 김 위원장과 '6·15 공동선언'을 합의, 발표했다. 이 공적 등을 인정받아 그해 12월 그는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은 대규모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인도적인 성과도 이루었고, 개성공단이라는 남북한 경제 협력 모델도 진행시켰다.

그러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과정에서 현대측이 5억달러를 북에 제공한 사실이 퇴임 후 알려지고, 햇볕정책을 통해 북에 전달된 각종 현금 지원이 북의 핵 개발자금으로 이용됐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김 전 대통령의 대북 정책도 재평가 대상이 됐다. 그 공과를 둘러싼 보수·진보 진영 간의 격렬한 논란은 남남(南南) 갈등이라는 상처를 남기기도 했다. 그의 유화적인 대북 화해 협력정책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2006년과 2009년 잇따라 핵실험을 하면서 그의 햇볕정책과 통일론은 빛이 바랬다. 결국 남북문제에 대한 그의 공과는 역사가 평가할 몫으로 남았다.

국내 정치적으로는 2000년 16대 총선을 앞두고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했으나 총선결과는 한나라당에 뒤지는 제2당에 그치는 부진을 보였다.

2002년 초부터 잇따라 터져 나오기 시작한 홍일·홍업·홍걸 세 아들과 권노갑씨 등 측근들의 잇단 비리는 노(老)대통령의 임기 말년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이때부터 신장 투석을 받아야 할 정도로 건강도 나빠졌다.

김 전 대통령은 2003년 2월 15대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정권을 넘겼다. 대한민국 역사상 첫 평화적 정권 교체에 이은 정권 재창출에까지 성공한 것이다.
은퇴 후 김대중도서관 개관

청와대를 나와 자연인으로 돌아간 김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중 처음으로 전용 사무실 겸 도서관인 '김대중도서관'을 개관했다. 그는 퇴임 후에도 세계 평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을 위해 유럽, 중국,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국을 방문하고 국내외 주요 언론들과 인터뷰하는 등 '평화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멈추지 않았다.

김 전 대통령은 자신과 같은 진보 성향의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정치적으로 침묵했지만 2008년 한나라당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사실상 정치활동을 재개했다. 수차례 언론 인터뷰, 공개 강연 등을 통해 현 정부의 대북 강경 노선을 강하게 비판했다. 지난 5월 검찰의 '박연차 리스트' 수사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했을 때 DJ의 '반(反)이명박 정부' 활동은 정점에 달했다. 그는 공개적으로 "독재자에 아부하지 말고 들고 일어나야 한다"고 해 큰 정치적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김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 자살로 큰 충격을 받아 이후 급속도로 건강이 나빠졌다고 측근들은 전한다.

이처럼 생전 그에게는 '불굴의 민주투사' '민족의 지도자' '남북 화해 협력의 전도사' '인권운동가'라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대북 퍼주기 대통령' '지역·측근 정치의 원조'라는 부정적 평가도 만만치 않았다. 이제 그의 거대한 생애에 대한 평가는 '3김시대'에 대한 평가와 함께 역사의 몫으로 넘어갔다.


중문으로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

  • 동교동 주민에게 이웃집 DJ는…
  • 북, DJ 폐렴때 문병…조문 오나
  • "예쁜 처녀 놓고…" 숱한 어록
  • 반총장, 이희호 여사 손 잡고…
  • '민주 대 반민주' 사실상 없어져
  • 노태우 전대통령, 표정으로 애도
  • "DJ뒤에 있겠다" 공언한 7인은
  • "한번만…" 이 여사의 기도
  • "한번만…" 이 여사의 기도
  • "한번만…" 이 여사의 기도
  • "한번만…" 이 여사의 기도
  • "한번만…" 이 여사의 기도
  • 사업 접고 태평양 건너온 박지원
  • 79세에야 미국 유학, 5개월 만에 DJ 곁으로
  • DJ정부 시절 '공언한 대로' 국회 지킨 '리틀 DJ'
  • 생전 김 전대통령을 괴롭힌 고통
  • 7대 대선 출마…박정희 맞수로
  • 김 전 대통령 서거 '하루만에' 김정일 조전 보내
  • 김 전 대통령 서거 '하루만에' 김정일 조전 보내
  • 정부, 김 전대통령 '국장' 검토


    --------------------------------------------------------------------

    다음은 조갑제닷컴  http://www.chogabje.com


    있는 기사입니다.

    -------------------------------------------------------------


    李대통령이 '김대중 國葬'을 결정한다면…

    이는 자신의 정치적 장례식 준비가 될 것이다. 애국시민들은

     

     國葬거부 운동을 벌일 의무와 권한이 있다.

    趙甲濟   
     李明博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그만둘 각오를 하든지 대한민국의 간판을 내릴 각오를 하지 않는 한 反국가범죄로 확정판결을 받았던 사람을 國葬으로 예우할 순 없다.
     
     國葬은 경비 일체를 국가가 부담한다. 공무원들은 의무적으로 참배해야 한다. 국민들은 弔旗를 달아야 한다. 보통은 대통령이 장례위원장이 된다. 대한민국이 喪主인 셈이다. 국민들에게 사실상 故人에 대한 애도와 존경을 강제하는 儀式이다.
     
     지금 언론은 김대중씨를 미화하고 있지만 어떤 여론조사로도 김대중씨에 대한 절대적 지지자보다는 절대적 비판자가 더 많다. 그런 반대자도 관례에 따른 국민장 정도는 용인하고 故人의 명복을 빌 준비가 되어 있으나 國葬은 국가와 자신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으로 생각한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애도할 마음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도 故人에 대하여 국가가 애도를 강제하는 國葬은 양심의 자유에 대한 위반이며 일종의 전체주의적 儀式이 된다.
     
     1. 前職 대통령은 국민장, 현직 대통령으로 사망한 경우는 國葬이라는 관례가 수십 년 간 정착되었다. 이 관례를 깨야 할 정도로 김대중씨의 죽음이 애국적이었고, 그의 업적이 이승만, 박정희만큼 위대하였다고 볼 수 없다.
     
     2. 그는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1973년에 북한정권의 조종을 받는 반역적 在日인사들과 손잡고 反국가단체 한민통을 만들어 의장에 취임하였다. 이 일로 사형확정 판결까지 받았다. 감형되고 사면되긴 하였지만 이 판결은 그 뒤 再審대상이 된 적도 없어 역사적 기록으로 영원히 유지될 것이다.
     
     3. 그는 해방 직후 좌익활동가였다. 본인은 轉向하였다고 했으나 그 뒤의 從北的 행적을 종합할 때 이 주장을 모두 믿기는 매우 어렵다.
     
     4. 그는 현대그룹을 앞세우고 국정원을 시켜서 국민을 속이고 불법으로 4억5000만 달러를 간첩 두목 김정일의 해외 비자금 계좌 등으로 보내주고 김정일과의 회담을 성사시켰다. 이 회담에서 김정일과 함께 反헌법적 6.15 선언에 합의, 연방제 적화통일 방안을 사실상 수용, 남한내 좌익들에게 반역활동의 자유를 주었다. 대한민국을 미증유의 위기에 빠뜨렸던 사람을 국장으로 대우할 순 없다.
     
     5. 김대중씨는 북한의 핵실험에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할 인물이다. 李明博 대통령도 김대중 정부 시절에 북한으로 보내준 金品이 핵 개발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6. 김대중씨는 국가반역범죄 前科者이며, 많은 국민들로부터 국가반역혐의를 받고 있다. 더구나 李 대통령 또한 김대중 대통령이 핵 개발을 도왔다는 의심을 국민들과 공유하고 있다.
     
     7. 그런 대통령이 김대중씨를 國葬으로 대우하도록 결정한다면 우리는 李明博 대통령이 자신의 인기를 위하여, 김대중 지지자들과 북한정권 추종자들을 위하여 대한민국의 명예와 권위를 팔아먹고,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포기하였다는 의심을 가질 의무와 권한이 있다.
     
     8. 김대중씨에 대한 國葬은 김대중씨가 저지른 反국가적 행위에 대하여 면죄부를 주는 효과를 부를 것이다. 다수 국민들이 그를 反국가단체 수괴인 김정일에게 굴종하고 대한민국의 國益을 희생시킨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그런 사람을 영웅으로 公認해주는 國葬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통령의 자기부정이고 국가부정이며 김대중 세력에 대한 아부이다. 국가원수이자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이 조국과 헌법정신을 배신하는 행위이다.
     
     9. 국군지휘부가 국군통수권자가 核개발을 도운 사람이라고 지목까지 하였던, 反국가범죄 전과자 영정 앞에 일렬로 도열하여 참배하는 모습을 본 국군 장병들이 무엇이라 생각하게 될까? 이런 군대가 과연 북한군과 북한정권과 내부의 敵에 대하여 적개심을 가질 수 있겠는가? 主敵의식이 모호해진 군대가 과연 국토방위와 국가의 안전보장이란 헌법상의 신성한 의무를 다할 수 있나?
     
     10. 김대중에 대한 國葬은 반역면허증인 6.15 선언, 10.4 선언을 李明博 대통령이 존중하는 것으로 비쳐질 것이다.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과 헌법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문서를 존경하는 대통령은 자동적으로 탄핵의 대상이 된다.
     
     11. 남북한 좌익세력은 ‘김대중 國葬’을 일종의 면죄부, 반역면허증으로 활용하여 자유를 파괴하는 자유를 누리려 할 것이다.
     
     12. 이에 대하여 분노한 애국세력도 행동하기 시작하면 국가는 ‘김대중 國葬’을 계기로 분열상태에 빠질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 보면 헌법정신과 애국심으로 무장한 대한민국 세력이 최후의 승리자가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김대중 지지세력뿐 아니라 李明博 대통령도 국가 배신자로 낙인 찍혀 정치적으로 매장될 것이다.
     
     13. 李 대통령이 김대중 國葬을 결심하면 이는 자신의 정치적 장례식을 준비하는 일이 될 것이다. 신상옥씨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는 한, 김대중 당신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고 썼었는데,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는 한 李明博 대통령도 용서 받지 못할 것이다.
     
     14. 李 대통령이 믿는 神이 그를 붙들어 주어 국가와 자신에게 치명적인 결정을 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기도하는 심정이다. 그럼에도 법을 잘 지키는 성실한 국민들의 이런 희망을 배신하고 좌익세력에 굴종하는 결정을 내린다면 국민들도 헌법정신을 받들어, 자유민주, 法治체제를 수호하기 위하여 행동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행동하는 양심'이 어떤 것인지, 김대중씨에 대한 참 民心이 어떤 것인지 그때 가면 알게 될 것이다. 애국시민들은 國葬거부운동을 벌일 권한과 의무가 있다. 이명박은 대한민국의 배신자가 될 것인가, 오늘 밤의 결정이 그의 평생을 좌우할 것이다.
     
     
     *청와대 안내전화 02-730-5800

    [ 2009-08-19, 19:36 ]

     

     

    -----------------------------------------------------------

     

     

     

    다음은 조갑제닷컴  http://www.chogabje.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金大中의 생애 - 빛과 그림자가 교차된 파노라마

    故 金大中씨의 訃音에 붙이는 글 "그가 추구한 ‘남북화해’는

     

    북한 동포들을 억압하는 暴政의 책임자와의 화해였다"

    이동복   
     故 金大中 씨의 訃音에 붙이는 글
     
     1970년대 이후의 한국 현대사를 가리켜 세상 사람들은 ‘3金時代’라고 일컬었다. 1971년에 실시된 제7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朴正熙 대통령이 이끄는 民主共和黨의 장기집권 저지에 나선 民主黨의 후보지명전을 휩쓴 구호는 ‘40대 騎手論’이었다. 당초 民主黨의 ‘40대 騎手’는 金泳三, 金大中, 李哲承 등 3명이었다. ‘40대 騎手(기수)’의 先頭走者는 金泳三이었지만 1971년 민주당 후보 지명전의 승자는 金大中이었다. 3파전이었던 전당대회 1차 투표의 결과는 金泳三, 金大中, 李哲承의 순서였지만 2차 결선투표에서 민주당 안에서 같은 新派에 속했던 李哲承이 金大中에게 그의 표를 몰아줌으로써 그에게 逆轉勝(역전승)을 안겨주었다. 

     
     1971년4월27일 실시된 제7차 대통령선거에서 金大中은 朴正熙에게 90만표의 표차로 패배했다. 그리고 이 선거를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직선제 대통령선거 실시가 한동안 중단되었다. 1972년 10월의 維新體制(유신체제) 출범과 더불어 대통령선거는 장충동 실내체육관에서 실시되는 間選(간선)으로 바뀐 것이다. 維新體制는 1979년10월 金載圭 중앙정보부장에 의한 朴正熙 대통령 弑害(시해)로 무너졌지만 대통령 직접선거의 復歸는 1987년 盧泰愚 民主正義黨 후보의 6.29선언을 全斗煥 대통령이 수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1987년12월16일 실시된 제13대 대통령선거 때부터 직선제가 부활되었다. 이렇게 부활된 직선제 대통령선거의 주역들은 더 이상 ‘40代 騎手’가 아니었다. 이제는 60代의 ‘3金時代’로 바뀐 것이다. 李哲承이 뒤로 처지고 그 대신 金鍾泌이 加勢한 金泳三, 金大中, 金鍾泌의 3파전의 시대가 막을 열었다. 1987년의 제13대 대선에서 ‘3金’은 모두 함께 출마하여 합계 1400백여만 표를 득표했지만 이 표를 나누어 가짐으로써 800만표를 얻는 데 그친 盧泰愚에게 승리를 넘겨주어야 했다. 金鍾泌이 缺場(결장)하여 사실상 金泳三ㆍ金大中의 兩金과 鄭周永의 3파전이 된 1992년의 제14대 대선에는 金泳三이 190만표의 표차로 金大中을 눌러 3金 가운데 가장 먼저 大權을 거머쥐는 先頭走者가 되었고 이때의 충격으로 金大中은 일시적으로 政界를 隱退(은퇴)하는 受侮(수모)를 감수해야 했다. 金泳三ㆍ金大中이 겨룬 제13대와 제14대 대선은 문자 그대로 嶺南 표와 湖南 표의 지역 싸움이었고 嶺南 표가 湖南 표를 압도한 선거였다.
     
     그러나, 金大中은 大權에의 집념을 버리지 않았다. 그는 1997년의 제15대 대선을 앞두고 정계은퇴 결정을 번복하는 한편 3金의 3번 走者인 金鍾泌의 양보를 얻어 ‘野圈候補 單一化’에 성공함으로써 金鍾泌이 몰아준 忠淸 표의 도움으로 李會昌ㆍ李仁濟와 벌인 3파전에서 李會昌을 42만표 차이로 따돌리고 大權을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3金 가운데 兩金(金泳三ㆍ金大中)은 그들의 평생의 집념이었던 大權慾(대권욕)을 충족시키는 데 성공했다. 3金 가운데 大權에의 꿈을 실현시키는 데 성공하지 못한 1金은 金鍾泌이었다. 金鍾泌은 1997년 그의 도움으로 大權 장악에 성공한 金大中과 소위 ‘공동정부’를 구성하여 국무총리에 취임함으로써 그의 정치인생을 ‘권력의 2인자’로 마감하는 길을 택했다. 

     
     金大中이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에서 37일간의 투병생활 끝에 8월18일 끝내 세상을 떠났다. 이승에서 지난 30여 년간 국민에게 때로는 희망을 주기도 했지만 때로는 절망을 안겨주기도 했던 ‘3金’ 사이의 이승에서의 집요한 大權 경쟁에서 先頭走者가 最年少者인 金泳三(82세)이었다는 사실은 하나의 역사적 아이러니였다. 그러나, 그 金泳三이 여전히 老益壯의 건강을 과시하고 있는 가운데 '3金‘ 중의 最年長者였던 金大中(85세)이 그들 가운데 이승을 하직하는 先頭走者가 됨으로써 그 아이러니는 해소(?)되었다. ‘3金’ 가운데 유일하게 大權에의 꿈을 이루지 못한 金鍾泌(83세)은 최근 건강의 악화로 인하여 金大中의 殯所(빈소)로 직접 弔問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언론은 전하고 있다.
     
      金大中의 생애에서 筆者는 빛과 그림자가 交織(교차)된 파노라마를 본다. 그의 정치적 생애는 한 마디로 波瀾萬丈(파란만장) 그 자체였다. 그는 大權 街道의 중간 기착지였던 국회 진입도 四顚五起로 이룩해야 했고 大權의 꿈도 3修 끝에 네 번째의 挑戰에서 겨우 이루는 데 성공했다. 그의 이 같은 七顚八起에는 원인이 없지 않았다. 그에게는 自力으로는 大權에의 꿈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세 가지의 치명적인 弱點이 있었다. 지지기반이 湖南 일변도라는 지역적 약점, 청년기부터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어 그를 따라다녔던 ‘親北ㆍ左傾’ 시비로 인한 이념적 약점, 그리고 “나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일은 있어도 거짓말을 한 적은 없다”고 스스로 군색하게 해명해야 했던 신뢰성의 약점이 그것들이었다. 1997년 제15대 대선 때 그는 이 가운데 지역 및 이념의 약점을 金鍾泌의 도움으로 극복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때 金鍾泌과 이룩했던 ‘내각책임제’ 改憲 합의를 파기함으로써 신뢰성의 문제는 풀기는커녕 그의 아킬레스 筋으로 남겨 둔 채 이승을 하직하게 되었다.

     
     이제 그의 장례기간이 시작되면서 언론은 故人의 足跡에 대한 갖가지 美辭麗句를 봇물처럼 쏟아내고 있다. 아마도, 어쩌면, 지난 번 自殺로 그의 인생을 마감한 故 盧武鉉 씨의 장례 때의 狂亂劇(광란극)이 이번에도 再演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그 같은 狂亂劇이 에스컬레이트 되기 전에 필자는 故人의 生前의 업적과 관련하여 두 가지 사실을 지적해 두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 첫째는 故人의 가장 큰 업적의 하나로 언론이 美化하는 데 여념이 없는 ‘남북화해’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분명하게 지적되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말썽 많은 2000년의 ‘6·15 남북공동선언’이 그 결실이지만, 그가 ‘남북화해’를 추구한 것은 맞지만 그가 추구한 ‘남북화해’는 북한 동포들을 억압하는 暴政(폭정)의 책임자로 東西古今을 통해 가장 最惡의 獨裁者인 金正日과 그가 이끄는 북한 공산정권과의 ‘화해’였지 2300만 명의 고통받는 북한 동포들과의 ‘화해’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그가 추구한 ‘남북화해’는 ‘북한사회의 민주화’를 내용으로 하는 북한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남한사회의 容共化ㆍ聯共化’를 내용으로 하는 남한 사회의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었다. 그는 生前에 이제 2만 명에 육박하는 남한 사회의 ‘脫北 同胞’들에게도 단 한 번 ‘連帶(연대)’는커녕 ‘同情’의 손길을 내민 사실이 없었다.
     

     그 둘째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의 故人의 기여와 관련한 문제다. 그는 自他가 공인하는 것처럼 그의 평생을 대한민국의 ‘민주화’ 투쟁에 헌신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가 ‘민주화’라는 슬로건을 위해 그의 평행을 바쳐서 ‘투쟁’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정치 생애를 통하여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이행한 사실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後世 史家들의 냉정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金大中 정권 기간 중 정부와 朝ㆍ中ㆍ東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어 IPI(국제언론협회)가 한국을 ‘언론자유 감시대상국’ 명단에 올려놓고 있을 때 한국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던 IPI 사무총장이 필자에게 털어놓은 感想(감상)이 있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
     
     “언론 자유 문제 때문에 한국에 자주 오는 과정에서 한 가지 의식하지 못했던 것을 깨우친 것이 있다. 그것은 ‘민주주의’와 ‘민주화’에 관한 것이다. ‘민주주의’는 ‘민주주의’가 表象하는 일련의 가치체계를 내용으로 하지만 ‘민주화’는 정치인들이나 운동가들의 구호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 와 보니 ‘민주주의’와 ‘민주화’가 완전히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목격한다.”
     
     실제로 故 金大中 씨와 많은 야당 및 재야 세력 인사들이 과거의 군사정권과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정치적 저항을 ‘민주화’ 투쟁이라고 命名했고 또 일반적으로 그 같은 명명이 통용되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故人이 靑瓦臺의 주인이었던 시절의 국정 운영은 물론 그가 야당을 수도 없이 만들고 부수고를 되풀이하고 또 이끄는 과정에서 과연 그가 실제로 얼마나 ‘민주주의’를 고지식하고 성실하게 실천ㆍ이행했는지는 좋게 말하더라도 의문이 아닐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얼마 전 故 盧武鉉 씨의 國民葬을 치르는 과정에서 보여준 언론의 모습은 181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테가 流配 중이던 엘바 섬을 탈출하여 베르사이유 宮으로 귀환하여 皇帝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野獸(야수), 우리를 탈출', '나폴레옹 보르도에 상륙', '전 皇帝 리옹에 入城(입성)', '皇帝, 베르사이유에 凱旋(개선)으로 헤드라인을 계속 바꿨던 프랑스의 신문들이 보여주었던 炎凉世態(염량세태)를 연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번에 故 金大中 씨의 장례 기간 중 이 나라 언론은 어떤 모습을 보여 줄 것인지 궁금증을 느끼기에 앞서 두려움을 금하기 어렵다. 故人에 대한 禮遇(예우)는 生前의 榮辱을 함께 아우르는 균형감각을 살리는 데서 正道를 찾는 지혜가 아쉽다. 이제 故人에 대한 장의절차를 놓고 國葬論이 거론되고 있다는 소리가 들린다. 이에 관해서도 정부 당국은 炎凉世態에 휩쓸림이 없이 균형감각의 토대 위에서 국가와 사회를 위하여 올바른 결정을 하는 것이 옳다.
     
     모쪼록 이제 幽明을 달리 한 故人의 경우에서 많은 사람들이 깨우침과 함께 敎訓을 찾았으면 좋겠다. 마침 지금 막 TV 스크린에서는 북한의 독재자 金正日이 故人의 別世에 대해 심심한 哀悼의 뜻을 전해 왔다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弔問은 좋은 일이다. 그러나, 필자는 金正日도 지난 번 고 盧武鉉 씨의 他界에 이어진 이번 故 金大中 씨의 訃音을 통해 人生無常의 진리를 터득하고 그야말로 生前에 改過遷善의 기회를 포착할 수는 없을 것인지, 부질없는 줄 알면서도, 공연한 기대를 잠시 가져 본다. 이제 ‘투쟁’으로 살아 온 평생을 마감한 故人의 冥福을 빈다. [끝]
     
    [ 2009-08-19, 11:50 ]

    -----------------------------------------------------------

    다음은 KONAS  http://www.konas.net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국군 홀대한 김대중, 국민장도 과분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식 형태를 놓고 국장(國葬)이냐 국민장(國民葬)이냐 논란이 뜨겁다. 가족들이 정부에 국장으로 해 달라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염치도 좋다. 이승만, 윤보선의 가족장. 재임 중 서거한 박정희의 국장, 최규하, 노무현의 국민장. 관례에 따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민장으로 해도 결코 고인(故人)을 홀대하는 것이 아니다.
      
     관례만 갖고 김대중 장례를 국장으로 함이 적절치 않다고 따지는 것이 아니다.
     
     김대중은 ‘민주주의 위기’ 운운하면서 국민이 선출한 정부를 독재정부로 규정하고 국민들을  선동했다. 그 독설과 편가름이 도를 넘어 전직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을 매도하고 협박한 것이나 다름없다.
     
     김대중의 국장을 허용하는 이명박 정부는 겁이 많은 것인지 아니면 속이 너무 좋아 배알도 없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노벨평화상을 받은 김대중은 햇볕정책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핵개발을 돕고 북한에 이용당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김대중의 햇볕정책은 북한의 민주화, 인권탄압 중단, 개혁개방 그 어느 것도 이끌어내지 못한 허울만 좋은 껍데기 정책이었다.
     
     김대중 정부는 조공 바치듯이 현금, 물자를 북한에 퍼주고 비전향장기수를 북송해주면서도 영토와 자국민 보호를 위해 북핵폐기, 국군포로·납북자 송환 등을 북한에 요구하지 못했다.
     
     북한이 말하는 자주, 평화통일은 헌법에 명시한 자유민주적 평화적 통일을 부정하는 단지 전쟁 없이 남한을 흡수하는 연방제 적화통일을 의미한다. 이에 동조한 6.15선언이야 말로 반헌법적인 망국, 매국선언일 뿐이다.
     
     김대중의 햇볕정책은 남북화해보다는 붕괴직전까지 간 북한의 독재체제를 더욱 견고하게 해주었을 뿐이다. 김대중 재임 시에 서해에서 북한군과의 교전에서 여섯 장병이 전사한 사실만으로도 남북화해에 기여한 것이 없다는 것이 입증된다.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에서 북한군과 교전 중 전사한 윤영하 소령, 한상국 중사, 황도현 중사, 조천형 중사, 서후원 중사, 박동혁 병장. 나라를 위해 산화한 이들을 당시 대통령 김대중은 조문조차 하지 않았다.
     
     국민들은 월드컵 열기에 묻혀 잊고 지냈다 치더라도 군통수권자인 대통령만은 나라를 지키다가 희생한 전몰장병을 홀대하고 외면한 것은 지탄받아 마땅한 일이다. 김대중은 병사(病死)하기까지 7년동안 단 한번도 전사한 여섯영웅을 추모한 일이 없다.
     
     김대중의 유족과 지지자들은 국장을 고집하지만 국군을 홀대하고 적을 이롭게 했던 김대중의 장례는 국민장도 과분하다. 분열과 대립, 갈등의 중심에 섰던 김대중의 死後, 화해와 상생, 국민통합을 기대한 것이 장례형식에 대한 논란으로 물 건너가고 있는 것 같아 씁쓸하다.
     
     어떤 형태의 장례로 치루든 엄숙히 추도하는 분위기의 장례로 끝나길 바란다. 장례기간 중 거리시위를 선동하려는 꾼들의 자중을 촉구한다.(konas)

    봉태홍(라이트코리아 대표)


    written by. 봉태홍
    2009.08.19 14:35 입력

    ------------------------------------------------------------

    다음은 KONAS  http://www.konas.net 에 있는 기사입니다.

    ------------------------------------------------------------

     

    北 김정일 서울로 조문와야



    김대중 정부의 대북지원 악용하여 핵무기를 개발하고

     

    연평해전을 도발한 배신행위에 대해 사죄해야


     

     제15대 김대중 대통령이 2009년 8월18일 향년 86세의 나이로 서울 세브란스병원에서 서거(逝去)했다. 북한 김정일이 8월19일 조전(弔電)을 보내 ‘애도의 뜻’을 표시했다. 김정일은 유가족들에게 보낸 조전에서 “나는 김대중 前 대통령이 서거하였다는 슬픈 소식에 접하여 리희호 녀사와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라고 말했다고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이어 그는 “김대중 前 대통령은 애석하게 서거하였지만 그가 민족의 화해와 통일염원을 실현하기 위한 길에 남긴 공적은 민족과 함께 길이 전해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리고 북한의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는 8월19일 김대중 前 대통령 측에 조의 방문단을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 조문단은 조선노동당 비서 및 부장을 비롯한 5명 정도로 구성되며 장례식 직전 김정일 위원장 명의의 화환을 갖고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누가 오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김정일이 직접 서울을 방문하고 조문해야 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첫째, 김대중 대통령과 약속한 서울 답방을 지켜야 한다.

     

     

     제1차 남북정상회담(김대중-김정일)에서 채택된 6.15공동선언(2000.6.15)에 “김대중 대통령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하도록 정중히 초청하였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명기되어 있다.

     

     

     그런데 김정일은 지금까지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는 인간으로서의 도리가 아니다. 더구나 북한지역의 지도자로서 그렇게 행동해서는 더욱 안 되는 일이다. 직접 서울에 와서 조문하고 김대중 前 대통령에게 사죄를 빌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도 2009년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반대하지 않고 있다.

     

     

    둘째, 김대중 정부의 대북지원을 악용하여 핵무기를 개발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2월에 집권하자마자 대북 햇볕정책을 추진했다. 당시 북한은 고난의 행군시기로 굶어죽은 자가 300만 명에 달했다. 김정일 정권으로서는 소멸위기에 몰리고 있었다. 이 시기에 김대중 대통령은 남북화해협력 차원에서 대규모 무상 대북지원을 추진했다. 5년 동안 총 24.8억불을 지원했다. 이중에 현금이 13.3억불이고 나머지는 물자(식량·비료 등)지원이다.

     

     

     그런데 김정일은 선군정치를 표방하면서 이를 대부분 군사 분야에 투자하여 핵무기·탄도미사일 등을 개발했다. 이는 배은망덕이요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철저한 배신행위다. 김대중 대통령의 영전에 와서 직접 사죄해야 한다.

     

     

    셋째, 김대중 대통령의 역점사업인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약속을 어겼다.

     

     

     김대중 대통령은 6.15공동선언에 따라 남북화해협력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평가하고 개성공단과 금강산에 대규모 투자를 강행했다. 북한은 장소만 제공하고 모든 돈과 물자는 한국이 투자했다. 당시 우리 대통령은 남북철로가 연결되면 부산에서 컨테이너가 바로 북한-중국-러시아를 거쳐서 유럽으로 간다고 국민에게 자신 있게 약속했다.

     

     

     우리는 누적되는 적자에도 불구하여 두 사업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매년 막대한 현금이 이를 통해 북한에 제공되고 있다. 심지어 北핵실험에 따른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1718호(2006.10)와 1874호(2009.6)의 규정을 위반하면서도 이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김정일은 갖은 핑계와 도발로 이 사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서울에 직접 와서 사죄해야 한다.

     

     

    넷째, 제2차 연평해전을 도발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치고 서울로 귀환하면서 국민에게 “다시는 한반도에서 무력충돌과 전쟁은 없다”라고 공언했다. 김정일이 김 대통령에게 약속한 것이다. 김 대통령이 이런 다짐을 받은 것은 김정일의 호전성 때문이다. 김정일은 바로 前해인 1999년 6월15일에 제1차 연평해전 무력도발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정일은 약속을 어기고 정상회담 다음해인 2001년 6월에 대규모 상선단을 동원하여 약 2주간 동·서해 영해와 NLL, 제주해협을 철저히 유린했다. 그리고 2002년 6월29일에 제2차 연평해전을 도발했다. 北함정의 기습공격으로 우리 고속정이 침몰되고 6명이 전사, 18명이 부상했다. 이날은 全 세계인의 축제일(한-일 FIFA 월드컵)기간이었다. 김대중 영전 앞에 사죄해야 한다. 장병 유가족에게도 사죄해야 한다. (konas)

     

     

    김성만(예, 해군중장, 성우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written by. 김성만
    2009.08.19 17:13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