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미국ㆍ중남미
- 입력 : 2009.07.13 03:00 / 수정 : 2009.07.13 08:58
오바마 "한국처럼 사람과 인프라에 투자해야"
버락 오바마(Obama)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한국경제를 성장모델로 본받으라고 주문했다. G8(주요 8개국) 정상회의에 이어 아프리카의 가나를 방문한 오바마 대통령은 11일 가나 의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자활(自活) 노력을 주문하면서 한국을 언급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내가 태어났을 때 케냐와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한국보다 더 컸지만, 지금은 완전히 추월당했고 질병과 분쟁이 아프리카 대륙을 황폐화했다"고 말했다.미 워싱턴대의 통계에 따르면, 2000년도 가격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에, 한국과 케냐는 1950년대 당시 모두 1인당 GDP가 1000달러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은 비약적으로 발전해 2만달러를 넘어서지만 케냐는 여전히 1000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단일 수출품, 그것도 1차 상품에 의존해 부(富)가 소수에 집중되고 원자재 가격 하락 시 많은 사람이 피해를 본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시 한국 사례를 들었다. 그는 "한국에서 싱가포르에 이르기까지, 역사는 사람과 인프라(infrastructure)에 투자한 국가가 번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그들은 숙련된 노동력을 개발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중소기업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말했다.오바마 대통령은 전날 이탈리아 라퀼라에서 열린 G8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에서도 "한국은 매우 발전하고 부유한 국가가 되었는데, 케냐는 여전히 깊은 가난과 씨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물은 뒤, 스스로 답을 내놓았다. 그는 한국처럼 투명성과 책임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도 해냈는데 아프리카 국가들이 해내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아프리카 국가들을 독려했다.오바마 대통령은 한국을 자주 '성공 사례'로 언급한다. 지난 3월에는 "미국 학생들이 매년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한국 학생들보다 1개월이나 적다"며 수업시간을 늘리고 방과 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때도 그는 "한국에서 그렇게 할 수 있다면 미국에서도 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 일문으로 이 기사 읽기
---------------------------------------------------------------
다음은 Google http://www.google.com 의 검색에서 찾은
< Text of President Barack Obama's news conference on
Friday in L'Aquila, Italy, as provided by the White House: >
에 있는 기사의 일부입니다.
Text of Obama's news conference on Friday
By The Associated Press – 2 days ago
Text of President Barack Obama's news conference on Friday in L'Aquila, Italy,
as provided by the White House:
------------------------------------------------------------------
OBAMA: What you heard is true, and I started with this fairly telling point that when my father traveled to the United States from Kenya to study, at that time the per capita income and gross domestic product of Kenya was higher than South Korea's. Today obviously South Korea is a highly developed and relatively wealthy country, and Kenya is still struggling with deep poverty in much of the country. And the question I asked in the meeting was, why is that? There had been some talk about the legacies of colonialism and other policies by wealthier nations, and without in any way diminishing that history, the point I made wa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orking with the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was able to create a set of institutions that provided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efficiency that allowed for extraordinary economic progress, and that there was no reason why African countries could not do the same. And yet, in many African countries, if you want to start a business or get a job you still have to pay a bribe; that there remains too much — there remains a lack of transparency.
----------------------------------------------------------
다음은 The Wall Street Journal http://online.wsj,com 에 있는 기사 --
Obama 대통령의 Ghana의 의회에서의 연설 가운데 일부분입니다.
---------------------------------------------------------------
But despite the progress that has been made — and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parts of Africa — we also know that much of that promise has yet to be fulfilled. Countries like Kenya, which had a per capita economy larger than South Korea’s when I was born, have been badly outpaced. Disease and conflict have ravaged parts of the African continent. In many places, the hope of my father’s generation gave way to cynicism, even despair.
-----------------------------
In Ghana, for instance, oil brings great opportunities, and you have been responsible in preparing for new revenue. But as so many Ghanaians know, oil cannot simply become the new cocoa. From South Korea to Singapore, history shows that countries thrive when they invest in their people and infrastructure; when they promote multiple export industries, develop a skilled work force and create space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at create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