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여야 미디어 관련법 극적 타결] 한나라 모처럼 일치 단결… 정국 주도권 되찾나(조선일보) | ||
|---|---|---|---|
| 글쓴이 | 헌변 | 등록일 | 2009-03-03 |
| 출처 | 조선일보 | 조회수 | 1379 |
일부러 모호한 입장 與野 협상장 끌어내
종잡을 수 없이 여야(與野) 입장을 넘나든 김형오 국회의장<사진>의 중재가 극적인 여야 합의를 이끌어냈다. 지난 연말 국회 이후 미디어법에 대해 야당 편에 서는 모습을 취해온 김 의장이 2일 오후 '미디어 관련 법안 직권상정' 카드를 던짐으로써 민주당을 다급하게 했고, 여당 입장을 수용하는 수정안을 내도록 유도한 것이다.
지난달 25일 한나라당이 미디어법안을 소관 상임위에 전격 상정한 이후 김 의장은 미디어법안의 직권상정 여부를 확신할 수 없는 '모호한' 입장을 취해 왔다. 김 의장이 2월 26일 "쟁점법안은 여야가 더 협의하라"고 한 뒤엔 민주당이 "의장이 미디어법을 강행 처리하지 않을 뜻을 밝힌 것"이라고 반겼고, 지난 1일 "여야 간 협상이 불발되면 야당이 가장 큰소리친 부분을 잃게 될 것"이라고 했을 땐 여당이 "의장은 역시 우리 편"이라고 반색했었다.
김 의장측은 "김 의장은 모호한 입장을 취해 여야가 서로 우세를 확신할 수 없게 함으로써 협상장으로 이끌어내 정국 파행을 막기 위한 전략을 쓴 것"이라고 했다. 미디어법을 직권상정한다고 했을 때 예상되는 민주당의 장외투쟁을, 반대의 경우 민주당이 김 의장을 믿고 협상에 비타협적으로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고도의 국회 운영 전략이었다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 투쟁 대신 타협 택한 이유
반전에 반전… 합의 이르기까지 '전쟁같은 22시간'
이회창 "외부에 맡긴다면 국회 뭐하러 있나"
미디어법 처리, 일각선 '100일짜리 시한폭탄' 지적
미디어법, 100일간 논의후 표결… 6월 재충돌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