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보도자료

제목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 • 5대 과제-세계 경제 주도할 新성장동력부터 찾자
글쓴이 조선일보 등록일 2008-08-17
출처 조선일보 조회수 1516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200

 

 

8/08/16 19:22

추천 0    스크랩 0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정치-사이버공간 여론몰이 막을 여과장치 마련해야


발행일 : 2008.08.15 / 종합 A5 면 기고자 : 배성규 정시행 
 
종이신문보기

건국 6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이 21세기의 파고를 넘어 새로운 60년의 성공역사를 또 쓰기 위해선 정치의 틀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 21년 동안 한국 정치를 이끌어 온 '87년 체제'의 전면 수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갈등 조정형 정치 돼야

정치의 기본은 복잡한 갈등과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 정치는 현재 갈등과 충돌의 진앙지 노릇을 하거나, 이를 증폭·확대시키는 부정적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영선 서울대 교수는 "진보·보수의 구시대적 대립 양상을 극복하는 새로운 정치 세력과 비전이 나와야 국제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다"고 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우리 사회와 국민의식 수준은 이미 이념적 대립의 단계를 넘어서 있다"며 "따라서 탈이념, 갈등 조정형 정부로 가야 한다"고 했다.

장훈 중앙대 교수도 "정치권력이 국민을 지배·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임성학 서울시립대 교수는 "국가가 정보와 자원을 독점하고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 정책·의사 결정 과정에 시민사회단체와 기업, 이해집단, 각계 전문가 및 대표들을 동참시켜 책임성과 투명성, 전문성을 높이는 거버넌스(governance)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사이버 민주주의와 정당 개혁

사이버 정치의 확대는 민주주의에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은 "최근 촛불집회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면 정당이 사양화되면서 대의정치가 위기에 빠질 것"이라고 했다. 강원택 숭실대 교수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시민사회의 정치 활동은 활성화됐지만 정당정치가 이를 제도적으로 반영하는 시스템은 미비하다"고 했고, 중요 정책 결정과 공직 선거에서 온라인 투표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윤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사이버 민주주의 등이 자리잡으려면 민주시민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부와 정당의 정책·인사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되, 소수가 잘못된 정보에 근거해 일방적으로 여론을 몰아가는 폐해를 막는 검증·여과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종인 전 의원은 "정책 프로그램 하나 제대로 개발하지 못하는 현 정당시스템부터 고쳐야 한다"고 했다. 정치컨설팅사 민기획 박성민 대표는 "미국처럼 정당을 2년에 한 번씩 평가하는 시스템(하원선거) 도입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국제화·지역화에 대비해야

대한민국이 21세기에 맞닥뜨릴 과제 중 하나가, 밖으로는 거세져가는 국제화·세계화 요구이고, 안으로는 분권화·지역화이다. 이에 따라 정부도 국제-국가-지방 정부로 다층화(多層化)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장훈 교수는 "이제 동아시아 공동체나 유엔, 세계무역기구(WTO) 등 초국가적 차원에서도 정치적 역할을 하는 글로벌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김동욱 서울대 교수는 "지방에 서울에 버금가는 광역도시권을 만들고, 지방재정 독립을 위한 지방소득세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진영 경희대 교수는 "외교에서 정부와 여야가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대처하기 위해 외교·통일 장관을 국회 동의를 받아 임명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권력구조 개편

87년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대통령 단임제'를 골자로 하는 현재의 권력구조를 개편하자는 논의이다. 이영조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연구소' 이사장은 "현행 단임제 대통령제는 대통령제의 단점만 두드러지는 제도"라고 했다. 이 문제에 대한 정치권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김부겸 민주당 의원은 "대통령제의 승자독식 구조 대신 분권형 정치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통


일은 '제3의 건국'
  2008/08/16 19:23

추천 0    스크랩 0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통일-통일은 '제3의 건국'… 전문인력 10만명 양성을

 발행일 : 2008.08.15 / 종합 A5 면 기고자 : 권대열 
 
종이신문보기

1948년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대한민국을 세운 것이 '제1의 건국'이었다면 그 이후 60년간 달성한 산업화와 민주화의 기적은 '제2의 건국'이었다. 이제 남은 남북통일이라는 과제는 '제3의 건국'(노재봉 전 국무총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김영수 서강대 교수는 "통일을 위해서는 훈련된 전문인력만 적어도 약 10만명 정도가 필요한데 우리에게 그런 통일 준비들이 과연 돼 있느냐"고 했다. 통일 후 북한의 교육, 행정, 사법, 군사, 치안, 시설 등 모든 분야에서 체제를 통합하고 주민을 지원해야 하는 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1조건: 남한 내 국론통일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 내부적으로 공감하는 통일정책이 없다는 점을 가장 우려했다. 문정인 연세대 교수는 "남북연합이든, 독일식 흡수통합이든 뭔가 우리 안에 합의된 통일 개념을 먼저 정립해야 한다"고 했다.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대표도 "지금 대한민국에는 통일정책이 없다"라고 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념이나 정파에 얽매이지 않고 범국민적인 거국 내각을 만든다는 기분으로 통일문제를 다룰 대통령 자문위원회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2조건: 군사력과 경제력

전문가들은 통일 시나리오를 크게 남북 합의에 의한 평화통일, 북한 붕괴에 의한 급격한 통일, 무력충돌에 의한 통일의 3가지로 본다. 홍관희 전략문제연구소장은 "어떤 형태가 되더라도 군사력은 기본"이라며 "특히 통일 정국에서 중국러시아, 일본의 영토적 야심을 막으려면 한미동맹이든 독자적 군사력이든 '힘'이 있어야 한다"라고 했다.

통일 비용도 문제다.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은 "독일의 경우 500조원 정도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그 두 배가 넘는 돈이 소요됐다"고 했다. 동용승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안보팀장은 "미국 국방부 의뢰로 랜드연구소가 분석한 결과는 최소 500억달러(약 50조원)~최대 6700억달러(670조원)"이라고 했다. 지난 정부의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는 1080조원까지 예상하기도 했다.

제3조건: 4강에 대한 '통일외교'

정종욱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통일한국의 등장을 경계하는 주변 강국들의 견제가 굉장히 강할 것"이라며 "독일이 통일을 위해 가장 신경 썼던 것이 주변국의 우려와 견제를 불식시키는 것이었다"라고 했다.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은 "통일의 전 과정에서 우리 혼자가 아니라 국제사회의 도움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북한 급변 사태도 대비해야

전문가들은 통일 준비와 아울러, 북한 내 급변 상황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다. 한 국책기관 연구원은 "김정일 사망이나 쿠데타·정변, 민중 봉기와 같은 일은 내일이라도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천재지변에 의한 대규모 기아와 대량 탈북 사태도 예상할 수 있다. 박철희 서울대 교수는 "미국, 중국과 비공식적으로라도 북한에 급변 상황이 일어났을 때의 대처방안을 정부 차원에서 합의해 둘 필요가 있다"고 했다.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외

 

 

교-안보·분단 틀 넘는 다자외교 전략 추구해야   2008/08/16 19:25

추천 0    스크랩 1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정치·통일·외교 분야

 

 외교-안보·분단 틀 넘는 다자외교 전략 추구해야

 발행일 : 2008.08.15 / 종합 A5 면 기고자 : 임민혁 
 
종이신문보기

건국 이후 지난 60년간 한국 외교의 최대 과제는 분단과 냉전의 소용돌이에서 신생 대한민국의 생존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정종욱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지난 60년의 외교는 안보외교, 분단외교였다"며 "미국이 베트남전을 위해 주한미군 일부를 감축하면 그것이 곧바로 우리 외교의 치명적 패배로 받아들여지던 시기였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외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은 많지 않았다. 1980년대 말 냉전이 종식될 때까지 우리 외교는 한미동맹만 붙들어도 되는 시기였기에, "한미동맹은 한국의 안보를 지키고 번영을 창출하는 데 필요조건이자 충분조건"(백진현 서울대 교수)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국제 정세는 하나의 틀 만으로는 따라잡기 힘든 다변화되고, 다중적인 구도가 됐다. 이 같은 변화와 도전에 대응할 우리 외교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승주 전 외무장관은 "지금까지는 안보·경제발전·국위선양이라는 단선적 외교를 펼쳐왔다면, 앞으로는 자원·기후변화·인권 등 세계적 차원의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며 "유엔사무총장을 배출했다고 우리 외교가 글로벌화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라고 했다. 하영선 서울대 교수는 "앞으로는 이분법적 사고가 아닌 '그물망 사고'의 외교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특히 한미동맹, 4강 외교도 상황변화에 따른 전략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한미 동맹을 우리 외교의 기축으로 삼되, 글로벌 전략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많았다. 김경민 한양대 교수는 "외교력을 향상시켜 '4강에 낀 한국'이 아니라 '4강+한국=5강'이 되려는 비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했고, 백진현 교수는 "4강 외교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세계최대 경제권인 유럽연합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되는 등 한국외교의 족쇄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유종하 전 외무장관은 "외교 인재 양성을 통해 '외교의 소프트웨어'를 강화해야 한다"며 "현재 국내 통일연구소, 세종연구소, 외교안보연구원 다 합해도 박사가 100명쯤으로, 미국 랜드(RAND)연구소의 몇 분의 1 수준"이라고 했다. "투자 없는 외교력 강화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도움말 주신 분들>

▲강원택 숭실대 교수 ▲김동욱 서울대 교수 ▲김부겸 민주당 의원 ▲김영수 서강대 교수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 ▲김종인 전 의원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 ▲노재봉 전 국무총리 ▲동용승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안보팀장 ▲문정인 연세대 교수 ▲박성민 민기획 대표 ▲박철희 서울대 교수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신율 명지대 교수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대표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 ▲이영조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연구소 이사장 ▲임성학 서울시립대 교수 ▲장훈 중앙대 교수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 ▲정윤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정종욱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정진영 경희대 교수 ▲하영선 서울대 교수 ▲홍관희 전략문제연구소장〈가나다순〉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선진국 도약 위한 조건 -

 

 

5대 과제   2008/08/16 19:27

추천 0    스크랩 1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선진국 도약 위한 조건

 

 5대 과제-세계 경제 주도할 新성장동력부터 찾자

 발행일 : 2008.08.15 / 종합 A6 면 기고자 : 금원섭 
 
종이신문보기

건국 60년을 힘차게 달려온 대한민국에 선진국 도약은 앞으로 60년 동안 포기할 수 없는 목표다. 지난 60년이 버거웠지만 앞으로 가야 할 60년은 더 힘들 수 있다.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일들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의 경제상황은 우리의 미래가 장밋빛만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경제성장률은 하락하고 물가는 치솟는다. 경제가 성장해도 고용이 늘지 않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애를 태우고, 외국인 직접투자(FDI)도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가 해낼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전문가들은 한국경제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의 확충, 글로벌 경제에 적극 참여, 고급 인력의 확보, 사회적 자본의 육성, 국제사회 기여 확대 등 5대 과제를 달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①잠재 성장능력을 높이자

현재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물가상승 없이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여력)은 4% 후반 수준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잠재성장능력으로는 고령화 사회, 남북통일 시대 등 우리 경제가 앞으로 짊어질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주현 원장은 "잠재성장능력을 6~7% 수준으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넘는 '우등생 클럽'에 진입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이를 위해서는 내수 살리기가 최우선 과제다. 중소기업 중심의 부품·소재 등의 산업을 육성하고 금융·의료 등 서비스업도 강화해야 한다. 우리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IT(정보통신)역량이 접목된 산업을 해외시장에 진출시켜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

②글로벌 경제의 허브가 되자

삼성경제연구소 정구현 소장은 "새롭게 등장할 '이머징 마켓(신흥시장)'을 놓고 다국적 기업이 중심이 되어 무한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같은 글로벌 경제 메커니즘 속에서 핵심인 '바퀴축(herb)'이 되어야지 변방인 '바큇살(spoke)'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바퀴축이 되기 위해서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시장 등을 공략할 수 있는 국내기업을 육성하거나 해외기업을 한국에 유치하는 등 글로벌 전략을 세워야 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채욱 원장은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해 경제자유구역에서 외국인을 위한 질 높은 의료·교육 환경을 보장하고, 세금감면과 행정절차 간소화 조치도 해 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③최고급 인재를 확보해야

모든 일은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다. 남다른 경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뛰어난 인적 자원을 가져야 한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종석 원장은 "교육개혁을 통해 고급 인적 자본을 축적해야 한다"며 "공교육 부실, 사교육 과잉 등 막대한 재원을 퍼붓고도 선진국에 비해 경쟁력 없는 학생을 내놓는 교육현실부터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구할 수 없는 인재는 해외에서 불러야 한다. 인종과 민족을 가리지 않고 고급 인재를 유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유기업원 김정호 원장은 "해외인력 수용을 위해서는 단일민족이라는 낡고 좁은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라고 말했다.

④사회통합 위한 인프라 구축

선진국으로 가는 과정에서는 사회적 갈등도 커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상호신뢰와 법규범 준수 등 사회갈등을 제거하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자본' 육성이 필수적이다.

이 같은 사회적 자본은 해외에서 수입할 수 없으므로 우리 스스로 노력해 얻어야 한다.

LG경제연구원 김주형 원장은 "모든 분야에서 '열려있고, 투명하고, 공정한 나라'가 돼야만 한다"라고 말했다.

공정한 경쟁 시스템, 엄정한 법 집행, 지도층의 솔선수범, 균등한 기회 제공, 패자부활 기회 부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⑤국제사회에 더 기여하자

우리나라는 세계 13위의 경제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제사회 기여는 낮아, 국가 브랜드 이미지가 높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현정택 원장은 "후진국이나 개도국의 공무원 등에게 우리나라의 경제개발 경험을 전수해 주고 관계를 유지할 경우 국가 이미지 개선과 글로벌 인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고 권고했다.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은 "아시아, 아프리카의 오지 국가에 가서 상하수도 시설을 갖춰주는 봉사활동을 벌이면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국가 브랜드, 대외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2050년 1인당 GDP 9만불(弗)"…
"고령화가 발목 잡을 가능성"

미래 전망
 
 
 
정혜전 기자 cooljju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2050년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9만292달러를 기록해 '부자클럽'에 들 것이다." (골드만삭스)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처가 늦을수록 성장률 하락, 재정건전성 악화 등의 부작용이 커질 것이다." (IMF)

국내외 기관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미래는 희망과 우려가 섞여 있다.

세계적인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G7국가와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11개 신흥경제국(터키 등)을 포함한 22개 국가의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2006년 기준 1만8161달러인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050년에는 9만294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일본(6만6846달러), 영국(8만 달러) 등을 제치고 미국(9만1683달러)에 이어 22개국 중 2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도이체방크도 인구 및 투자증가율과 인적자원, 대외개방 등을 기초로 주요 36개 국가의 2006~2020년 연평균 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한국의 장기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3.3%로 8번째로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랜드(Rand)연구소는 2020년까지 우리나라가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호주, 이스라엘 등과 나란히 '과학선진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경고도 있다.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를 넘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한국은 2026년에는 고령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IMF(국제통화기금)는 "2005년 현재 한국은 생산가능인구(15~64세) 7.7명당 고령자 1명을 부양하고 있지만 2050년에는 1.5명이 1명을 부양해야 한다"며 "고령화와 관련된 정부 지출이 2060년 국내총생산(GDP)의 13%로 높아져 선진 7개국(G7) 평균(약 4%)의 3배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고령화에 따른 취업자 증가율 감소, 피부양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2006~2010년 4.6%이던 연평균 성장률이 2040년 이후에는 2.1~2.4%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도움말 주신 분>


▲강석훈 성신여대 교수 ▲곽만순 가톨릭대 교수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김정호 자유기업원장 ▲김종석 한국경제연구원장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주형 LG경제연구원장 ▲김준경 KDI대학원 교수 ▲안세영 서강대 교수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 ▲이철용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정구현 삼성경제연구소장 ▲조명현 고려대 교수 ▲채 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최정섭 농촌경제연구원장 ▲현오석 전 무역연구소장 (가나다순)


 

입력 : 2008.08.15 03:01
 
 
-------------------------------------------------------

Goldman Sachs: Korea World’s



2nd Richest Nation in 2050

 

A major global investment bank has predicted that Korea will have the world's second-highest per capita income in 2050, trailing only the United States.

U.S.-based investment bank Goldman Sachs said in its global economic outlook that Korea and Russia will join the world's richest countries by 2050 with a per capita income of 65-thousand dollars or more. It predicted that Italy would fall out of the club of elites.

According to the report, Korea's per capita income at mid-century will stand at 90-thousand-294 dollars, just behind the U.S. projected average of 91,683 dollars.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건국 60년]<2>도전과 과제 - 선진국 도약 위한 조건

 "성장·성공 모델 바꾸지 않으면 선진국 문턱서 주저앉게 될 것"빌링어

 

맥킨지 서울사무소 대표 인터뷰

 발행일 : 2008.08.15 / 종합 A6 면 기고자 : 전수용 
 
종이신문보기

"한국의 과거 60년 성장 모델이 더 이상 미래를 보장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세계적 컨설팅그룹인 맥킨지의 롤랜드 빌링어(Roland Villinger·사진) 서울사무소 대표는 14일 본지와 인터뷰에서 "한국이 과거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거두고, 민주화를 이뤄냈지만 지금은 상당히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며 "예전의 성장·성공 모델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선진국 문턱에서 주저앉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과거 60년이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일궈낸 성공이었다면 앞으로 60년은 '소프트웨어'에 성패(成敗)가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인재확보, 정부와 재벌의 변화, 사회적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빌링어 대표는 "한국의 인재들이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고, 한국에 대한 메리트가 떨어지면서 글로벌 인재 유치에도 취약하다"며 "평생교육 수준은 OECD 국가의 절반 수준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인들은 IMF 외환위기나 월드컵처럼 특별한 이벤트에서는 똘똘 뭉치는 저력을 발휘하지만 일상 생활이나 노사관계에서는 그런 면을 찾아볼 수 없다"며 "사회적 신뢰와 융합을 위해 새로운 노사관계 모델을 강구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또 "고령화 사회에 따른 고령인구와 신세대 간 갈등, 중간계층 몰락에 따른 사회양극화 심화는 한국사회의 리스크(위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빌링어 대표는 한국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고 선진국 대열에 오르기 위해서는 정치·경제·사회 모든 분야에서 개방(open)의 폭을 넓히고 규제를 없앨 것을 주문했다. 그는 "문을 걸어 잠근 채 과거 모델을 바꾸지 않는다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4개국) 국가와 차이가 커지고 뒤처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빌링어 대표는 "과거 모델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치더라도 한국인들의 근면함, 열정과 같은 강점과 자산은 잃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빌링어 대표는 독일 뮌헨대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국제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작년 7월부터 맥킨지 서울사무소 대표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