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뉴스제작에 이중적 잣대… 공영방송 신뢰 추락 책임져야” /KBS 이사회가 밝힌 鄭사장 해임 사유 | ||
---|---|---|---|
글쓴이 | 동아일보 | 등록일 | 2008-08-09 |
출처 | 동아일보 | 조회수 | 1778 |
분야 : 사회 2008.8.9(토) 03:01 편집 |
“뉴스제작에 이중적 잣대… 공영방송 신뢰 추락 책임져야”
■ KBS 이사회가 밝힌 鄭사장 해임 사유
《KBS 이사회는 8일 정연주 사장의 해임 제청안을 의결하면서 감사원이 특별감사 결과에서 적시한 해임 제청 사유 외에 독자적으로 판단한 사유를 의결안에 담았다. 한 이사는 “감사원이 KBS의 독립성을 이유로 감사하지 않은 방송의 공정성 훼손 사례 등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사회는 정 사장의 경영 실패 사례를 10여 개 항목으로 나눠 지적했다.》
【1】 경찰 옷 벗기고 폭행한 시위대 취재도 안해
7월 26일 서울 도심 불법 시위 과정에서 시위대가 경찰관 2명을 인질로 잡아 옷을 벗기고 뭇매를 가한 린치 사건을 다른 언론의 보도 태도와는 달리 보도는 물론 취재마저 외면했다.
뉴스의 가치판단과 선택에 자의적 기준을 적용하고 뉴스 제작의 이중적 잣대로 KBS의 공정성은 물론이고 품위와 신뢰도를 크게 손상시켰다.
【2】 시위대에 편의 제공도 모자라 간부가 선동연설
6월 11일 이후 국가 1급 보안시설인 KBS 본관 앞 계단 등 시설 일부가 시위대에 점거되는 등 두 달 넘게 불법이 자행됐다. 간부 사원을 포함한 일부 사원이 시위대에 전력 등 편의를 제공하고 시위에 직접 가담해 선동 연설을 하는 등 실정법은 물론 사규와 윤리강령을 위반했다. 하지만 정 사장은 이사회가 이 사안에 대한 시정과 필요한 조치를 요구했는데도 외면하는 등 시설 관리 최고책임자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방기했다.
【3】 PD협회 등을 지원세력으로 활용해 반목조장
(PD협회 등) 사내 직능단체의 활동에 대해 지원을 대폭 늘리고 이들을 자신의 지원세력으로 활용해 조직 내부의 반목과 대립을 조장하는 부작용을 빚었다.
【4】 KBS 이사회 관련해 메인뉴스 통해 왜곡
이사회가 정 사장의 사퇴 권고를 안건으로 다룬다는 등 이사회의 활동과 관련해 없는 사실을 날조 왜곡해서 메인 뉴스를 통해 비판했다. 하지만 이사회에 참석하려던 박만 이사가 불법 시위대에 장시간 억류돼 신변을 위협받고 차량을 손괴당하는 등 폭력과 업무방해 행위가 발생했으나 일절 보도하지 않았다.
【5】 특정 이념에 치우친 편향방송 지적받아
탄핵방송, 두 차례의 재독 학자 송두율 특집 다큐멘터리 방송, 두 달이 넘는 광우병 촛불시위 보도 등은 특정 이념과 가치에 치우친 편향방송이란 평가를 불러왔다.
【6】 방만 경영으로 수신료 인상 설득 못해
정 사장은 재정 악화의 원인을 현행 2500원인 수신료 수준에 있다고 보고 2007년 전사적 역량을 동원해 4000원으로 60% 인상을 추진했으나 방만 경영과 편파방송의 여론을 불식하지 못하고 국민을 설득하지도 못했다.
【7】 창사 이래 최대 위기 불러와 놓고…
부임 후 2004년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적자를 낸 데 이어 2007년까지 1172억 원의 누적 사업손실을 냈다. 2008년에는 439억 원의 적자 예산을 편성했지만 상반기 광고수입 예산에서 347억 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KBS 경영수지가 적자 상태로 구조화돼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자초했다.
【8】 적자 메우기 ‘공영성 훼손’ 편성
정 사장은 2008년 1분기(1∼3월) 경영적자 규모가 예상외로 확대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공영성을 해친다는 우려와 비판에도 불구하고 대하사극 ‘대왕 세종’을 2TV로 이동하고 2TV에 일일 드라마를 신설하는 등 긴급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일일 드라마 광고 판매가 29%에 그치는 등 결과적으로 편성 정책의 실패를 초래했다.
【9】 적자 모면하려고 회사 소송 자산 포기
2000억 원이 넘는 세금 환급 소송 1심에서 승소하고도 2004년에 이어 2005년에도 재정이 악화돼 노조가 경영책임을 묻자 조정을 통해 세금 일부 환급으로 일단락 지어 적자를 모면하는 결정을 함으로써 회사의 소송 자산을 포기했다.
【10】 팀제 부작용으로 조직 내 조정 기능 잃어
팀제 도입은 자율권 보장이라는 포장과는 달리 자율권 남용에 따른 부작용을 낳았고 조직 내부의 업무 조정과 통제 기능이 상실됐다. 실·국·부장 등 중간 간부를 팀장으로 단일화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했다고 자평했으나 내부적으로 팀제의 문제점이 여러 차례 지적됐다. 팀장에 보직될 수 있는 2직급 이상 상위직 비율이 2003년 12월 40.5%에서 2008년 7월 1일 현재 48.2%로 증가하는 등 기형적 조직 구조가 심화됐다.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