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사설] 독도 사태가 주미(駐美)대사관 차원의 문제인가 /YS정부, EEZ대책위 → DJ정부, 교과서 대책반 → 盧정부, 독도대책반 (동아조선) | ||
---|---|---|---|
글쓴이 | 동아,조선 | 등록일 | 2008-07-29 |
출처 | 동아,조선 | 조회수 | 1336 |
다음은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에 있는
사설입니다.
------------------------------------------
|
분야 : 정치 2008.7.29(화) 09:07 편집 |
美CIA.의회도서관, 독도 ‘분쟁지역’ 이미 명기
韓.日 양국의 `국제분쟁'란에서 모두 언급
미 중앙정보국(CIA)과 미 의회도서관 등 미국 정부와 의회 기관들이 `독도'를 중립적인 `리앙쿠르암(岩.Liancourt Rocks)'으로 표기할 뿐만아니라 `국제분쟁지역'으로 명기해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최근 미 지명위원회(Board on Geographic Names.BGN)가 `한국땅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의 `리앙쿠르암'으로 표기,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미 미국의 공공기관들이 독도를 국제분쟁지역으로 간주하고 있음이 드러남에 따라 전방위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CIA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서 한국에 대해 소개하면서 `국제분쟁(Disputes-international)'란에 비무장지대의 군사분계선(MDL),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함께 "한국이 지난 1954년 이후 점유하고 있는 리앙쿠르암(독도/다케시마, Tok-do/Take-shima)을 놓고 한국과 일본이 서로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고 `독도문제'를 언급했다.
CIA 월드팩트북은 일본을 소개하면서도 `국제분쟁'란에 일본과 러시아간 북방 5개섬 주권을 둘러싼 분쟁과 함께 "한국이 지난 1954년 이후 점유하고 있는 리앙쿠르암(다케시마-독도)을 놓고 일본과 한국이 서로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고 한국과 일본 중 어느 나라를 먼저 언급하느냐 순서만 제외하고는 똑같이 기술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CIA는 한국과 일본을 소개하는 내용 맨 마지막 단락에 각각 "이 페이지는 2008년 7월24일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됐다(This page was last updated on 24 July 2008)"라고 적시해 놓고 있다.
미 의회 도서관도 한국의 국가 현황을 소개하는 '컨트리 스터디'에서 독도를 리앙쿠르암이라고 지칭하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지역이라고 명기했다.
미 의회 도서관의 한국 '컨트리 스터디'는 '지리' 항목에서 남한의 위치와 크기, 국경선, 기후 등을 설명하는 가운데 '분쟁(dispute)'이란 소제목 하에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리앙쿠르암'을 '북한과의 분계선'과 함께 포함시켰다.
그러나 미 의회도서관의 일본 소개에는 '리앙크루암'이나 '분쟁지역'이란 언급이 나오지 않는다.
미 국무부 인터넷 홈페이지도 한국 국가 개황 설명에서 독도를 리앙쿠르암으로 표시한 지도를 게재해 놓는 한편, 이를 분쟁지역으로 명기한 의회도서관 '컨트리 스터디'를 링크시켜놓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다음은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에 있는 기사입니다. ----------------------------------------------------- |
분야 : 정치 2008.7.29(화) 03:00 편집 |
美, 왜 미묘한 시기에 ‘독도 주인’ 없앴을까
■ 31년만에 ‘주권 미지정’ 재분류 배경은
미국 정부가 지난주 갑자기 독도를 ‘한국령’에서 ‘주권 미지정’으로 재분류한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은 단순한 ‘기술적 변경’이라지만 그 배경이 뭔지 의구심만 낳고 있다. 더욱이 이번 조치를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한국의 ‘독도 외교’는 다시 암초에 부닥친 양상이다.
▽지금 와서 갑자기 왜?=미국이 31년 동안 별다른 수정 없이 놔두던 독도 영유권 표기를 왜 굳이 한일 간 이슈로 떠오른 시점에 서둘러 정리했는지에 대해 납득할 만한 설명은 없다.
현재까지 나온 미 국무부와 지명위원회(BGN)의 공식 설명은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를 표준 명칭으로 정한 1977년 결정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정리했다”는 것. 중립적 명칭을 쓰기로 한 만큼 영유권 문제도 이에 맞추기로 했다는 해명인 셈이다.
주미 한국대사관 고위 관계자는 “일단 미국의 해명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관련 기관의 주요 당사자들과 계속적인 면담을 통해 추가로 알아보겠다”고만 말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미국 정부가 독도에 대한 ‘주권 미지정’ 분류가 가져올 문제의 심각성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생긴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의 섣부른 대응이 자칫 외교적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고민을 내비쳤다.
▽‘윗선’의 정치적 판단?=한국 정부는 미국이 31년 만에 ‘현상 변경’을 가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누가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사태 해결의 급선무라고 보고 있다.
BGN은 지리정보 관련 전문가와 기술관료 집단이어서 독자적인 정무적 판단을 내리는 곳은 아니기 때문에 어디선가 내려진 정치적 판단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과거 정부에서 BGN과의 연락 업무를 담당했던 한 관계자는 “BGN은 국무부나 국방부, 중앙정보국(CIA) 등 유관기관이 내리는 정책 판단을 보고 그에 맞춰 기술적 결정을 하는 곳”이라며 “영유권 변경은 좀 더 ‘윗선’의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조치는 미국의 기존 태도와도 배치되는 것이어서 이런 의구심을 키우고 있다.
미국은 한 나라가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지역에 대해 해당 국가의 영유권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 왔다. 일본이 반환을 요구하는 북방 4개 섬을 ‘러시아령 쿠릴 열도’로, 중국과 다툼을 벌이는 댜오위(釣魚) 섬을 ‘일본령 센카쿠 열도’로 명시한 것이 그 사례다.
▽원상회복 가능할까?=일단 정부는 공식 외교채널을 통해 우선 BGN에 수정을 요청하는 한편 국무부에도 적극적인 협조 요청을 할 계획이다.
정부가 뒤늦게나마 ‘총력전’을 다짐하는 이유는 BGN의 결정이 미국 연방정부 내 지명 표기의 표준이 되기 때문에 미국 내 다른 기관 및 홈페이지의 독도 표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즉각적인 원상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분기마다 열리는 BGN 회의에 한국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겠지만 한번 내린 결정을 번복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리정보 공유는 문제없나?=BGN이 외국 지명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는 미국 국립지리정보국(NGA)의 외국 지명 데이터베이스인 ‘지오넷 지명서버(GNS)’에는 외국 지명 참고기관으로 ‘National Geography Institute’가 ‘Korea(DPRK)’ 아래 올라 있다.
여기를 클릭하면 한국의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홈페이지가 나온다. 한국 기관이 북한(DPRK) 소속으로 등록돼 있는 것. 이런 오류가 언제부터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를 방치해 온 한국 정부의 허술한 외교를 드러내는 한 단면이 아닐 수 없다.
워싱턴=하태원 특파원 triplets@donga.com ------------------------------------------------------- -------------------------------------------------------
|